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JavaScript
- SSL
- c#
- array
- 메소드
- class
- 스프링부트
- Dict
- 자바
- 객체
- AssertJ
- Docker Desktop
- 파이썬
- 자바스크립트
- Java
- 배열
- StringBuilder
- Swing
- join()
- docker
- 클래스
- synchronized
- 저장소
- Python
- event
- GIT
- JS
- 프로그래머스스쿨
- SpringBoot
- thread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94)
정리노트
=== for 문법 === JavaScript For Loop 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 === for in 문법 === JavaScript For Loop 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 === for of 문법 === JavaScript For Loop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("물체의 무게를 입력하시오(킬로그램): "); int kg = scan.nextInt(); System.out.print("물체의 속도를 입력하시오(미터/초): "); int m_s = scan.nextInt(); float energy = (float) (0.5 * kg * Math.pow(m_s, 2)); // Math.pow(값, 제곱 할 수) System.out.printf("물체는 %.1f(줄)의 에너지를 갖고있다.", energy); // printf, 소수점 자리표현
// 기본 자료형 선언 let number = 123; let string = '가나다'; let boolean = true; // 자료형 확인 console.log(typeof number);// number console.log(typeof string);// string console.log(typeof boolean);// boolean // 객체 자료형 선언 let number = new Number(123); // new -> 객체 생성 연산자, Data type -> 첫글자 대문자 let string = new String('가나다'); let boolean = new Boolean(true); // 자료형 확인 console.log(typeof number);// object console..
aList = ['a', 'b', 'c', 'd'] aTuple = (1, 2, 3) bList = [100, 200, 300, 400, 500] # zip 패킹 myZip = zip(aList, aTuple, bList) myZip = list(myZip) # [('a', 1, 100), ('b', 2, 200), ('c', 3, 300)] # zip으로 묶을때 길이가 다를 경우 순서대로 묶고 맞지 않는 나머지는 모두 버린다. # zip 언패킹 myZip = list(zip(aList, aTuple, bList)) a, b, c = zip(*myZip) print(a, b, c)# ('a', 'b', 'c') (1, 2, 3) (100, 200, 300) # 집적화 a = [1, 2, 3] b = ('..
집합(set)는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다.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없음. 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, 대칭차집합 등 집합연산 수행할 수 있다. {}로 묶인다. >> 집합(set) 생성 / 출력 집합 메소드
[튜플]은 [리스트]처럼 여러 개의 요소를 가지는 컬렉션 자료형이다. 리스트와의 차이점 "튜플 내부의 객체를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고 순서를 바꿀 수 없다." 그럼에도 튜플을 사용하는 이유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 https://fierycoding.tistory.com/59 [python]튜플, 왜 쓰는걸까? 튜플의 생김새는 아래와 같습니다. data = (1,2)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생김새는 다른 자료구조 내부에 element로 포함된 모양새입니다. data = [(1,2), (2,3), (3,4)] 그런데 왜 이 튜플 타입을 사용해야 하 fierycoding.tistory.com >> 튜플 생성 튜플의 패킹과 언패킹 튜플) num = (1, 2, 3) cat[0] = 4# 에러 cat = lis..
print(객체) 이것만으로 객체안의 정보들을 알 수 있다면 편할 것이다. __str__() 메소드를 class 안에 정의하면 가능하다. class Count: def __init__(self, num): self.num = num def __eq__(self, other): return self.num == other.num def __str__(self): message = "담긴숫자: " + str(self.num) # 문자열과 합치기 위한 데이터타입 문자열 변환 함수str return message num1 = Count(10) print(num1) // 담긴숫자: 10 객체를 연산할 수 있는 특수 메소드 예시) __eq__ 메소드 ( == 를 사용하는 메소드) class Count: def __..